● 계획
- 오늘 나의 학습 목표
배포 자동화에 정의와 이점 알기
배포 파이프라인이 무엇인지 정의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단계(Stages)와 작업(Actions) 대한 이해
AWS 개발자 도구를 활용하여 파이프라인을 구축
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log 파일과 공식 문서를 통해 해결
● 점검 및 평가
- 새롭게 학습한 내용은
- 이해되지 않은 부분은
-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어제에 이어 오늘도 개발자의 극한 효율 추구를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배포 과정을 자동화해서 시간을 줄이겠다는 생각이다
무엇보다도 휴먼에러 라고 하는 수동 배포 과정중에 사람이 할 수 있는 실수들을
줄일 수 있는 것이 메리트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이프라인을 스테이지 별로 나누어 설계를 한다
크게는 소스를 관리하는 스테이지, 컴파일링과 테스트, 빌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빌드 스테이지, 변경된 사항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서비스를 업데이트 하는 디플로이 스테이지로 볼 수 있는데
상황에 따라 더 세분화되거나 간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선 AWS 개발자 도구인
CodeCommit, CodeBuild 등등 여러 서비스 목록 중에 일부를 학습에 이용했다
원래는 EC2 인스턴스에 태그와 역할을 부여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학습에 쓰일 계정은 이미 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하고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깅할 때 업로드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어려웠다기보다는 생소했다
어떤 사고력을 요구한다거나 하는 것이 아닌
사용법을 알려주는 느낌이 강해서
이런게 있구나 하고 경험을 쌓는 느낌으로 했다
'데일리 회고록 (2022.04.25 ~ 10.19) > 8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7 (0) | 2022.08.09 |
---|---|
2022.08.06 (0) | 2022.08.09 |
2022.08.04 (0) | 2022.08.09 |
2022.08.03 (0) | 2022.08.09 |
2022.08.02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