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 | Created | Created By | Last Edited Time | Participants | Type |
---|---|---|---|---|---|
2022/08/23 오후 회의 | 오후 회의 |
Goals (목표)
● Team Rule 구체적인 설정
Discussion Items (회의 내용)
● Git Branch 정책
→ Git flow를 조금 더 단순화 시킨 Coz’ Git flow
■ main (최종, 서비스할 수 있는 브랜치)
■ dev (다음 버전 배포를 위한 단위 브랜치)
■ feat (개인이 작업하고 dev로 모을 수 있게 만든 로컬 브랜치)
3가지의 브랜치를 활용하는 것에서 의견 차이가 있었다
feat 브랜치를 기능 별로 나눠서 구체적으로 만들자
아니다, feat을 feat/fe , feat/be 프론트와 백으로 나누고 같은 스택 작업자끼리 사용하자
사실 어떻게 사용해도 상관은 없었지만 어떤 것이 더 효율적이며 장점이 있는지 의문이있었기 때문에 발생한 의견차이였다
그래서 2가지의 의견을 추합해서 feat를 로컬 브랜치로 만들고 각자 로컬환경에서 feat/~~ 로 만들어서
dev 브랜치에 Pull Request를 날린 후 함께 코드 리뷰를 진행하고 dev 브랜치에 Merge,
그렇게 Merge된 dev를 최종적으로 main에 Pull Request 하고 마지막으로 코드 리뷰와 함께 main 브랜치에 Merge하는 방식으로 정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Repository에서 간단한 실습으로 방침을 확정 지었다
README 파일을 수정하여 변경사항을 로컬환경에서 feat/test 브랜치로 commit/push
dev 브랜치로 Pull Request 날린 후,
dev 브랜치에 Merge,
그리고 main에 다시 Pull Request 마지막으로 main에 Merge 하였다
팀원 모두가 이해했으며 앞으로 프로젝트에서
수월한 형상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tion Items (실행해야 할 과제)
Pre-project(스택오버플로우 페이지 클론 코딩)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Due date / DeadLine (마감일) : 2022/08/24 23:59화면 정의서 작성테이블 명세서 작성
'Project > Pre-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26 Team 회고록 (오후 회의) (0) | 2022.08.26 |
---|---|
테이블 명세서, ERD (0) | 2022.08.26 |
2022/08/25 Team 회고록 (오후 회의) (0) | 2022.08.26 |
2022/08/24 Team 회고록 (오후 회의) (0) | 2022.08.24 |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