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
- 오늘 나의 학습 목표
리눅스 터미널을 실행
CLI, GUI 작업이 동일함을 이해
- GUI의 변경사항을 CLI로 확인
- CLI의 변경사항을 GUI로 확인
리눅스 터미널에서 기본적인 명령어를 사용
- pwd : 현재 위치를 확인
- mkdir : 새로운 폴더를 생성
- ls : 폴더나 파일 목록 출력
- cd : 폴더에 진입
- touch : 새로운 파일 생성
- cat : 파일 내용 터미널에 출력
- rm : 폴더, 파일 삭제
- mv : 폴더, 파일 위치 이동, 이름을 변경
- cp : 폴더 파일 복사
- sudo : 관리자 권한
명령어 사용 시, 등장하는 키워드에 대해 이해
- / : 루트 디렉토리
- ~ : 홈 디렉토리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의 차이를 이해
- 절대 경로의 시작이 루트 디렉토리 /
- 상대 경로의 시작이 현재 디렉토리 .
텍스트 에디터 nano를 이용, 파일 수정, 저장
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의 필요성 이해
각 운영체제에 맞는 패키지 매니저 사용
Linux Ubuntu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apt 패키지 매니저에 대해 알고,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를 관리 apt update : 패키지 업데이트 여부 확인
apt list —upgradable : 업데이트 필요한 파일 조회
apt upgrade :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apt show : 프로그램 정보 확인
apt install : 프로그램 설치
apt list —installed :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보기
apt remove : 프로그램 삭제
apt search : 패키지 검색
사용 권한, 소유자에 대해 이해, 사용 권한 변경
- 파일 소유자, 파일 적용된 사용권한 확인, 이해 (ls- l)
- 파일에 적용된 사용 권한을 변경 (chmod)
환경변수란?
환경변수 왜 사용하는가
전역 변수, 지역변수 차이 이해
환경변수를 임시적으로 적용 가능
환경변수를 영구적으로 적용 가능
환경변수 개별값 확인
환경변수들의 목록 확인
- 오늘 학습할 내용 중 알고 있는 내용
리눅스 기초
● 점검 및 평가
- 새롭게 학습한 내용은
-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이해되지 않은 부분은
-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 학습 만족도는
기본적인 리눅스 기초는 대학교 때 배웠기 때문에 복습차원으로 좀 만져봤다
패키지, 패키지 매니저에 대해선 그냥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 넘어갔는데
그도 그럴 것이 말 그대로 우분투에서 쓰이는여러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 집합이었기 때문이다
제일 어려웠던 것은 환경변수 부분이었고
개념은 알았는데 리눅스에서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일전에 이미 환경변수에 대한 생각 이라는 제목으로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던 내용이지만
좀 더 심화된 내용을 오늘 배웠다
따로 정리를 해서 다시 포스팅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데일리 회고록 (2022.04.25 ~ 10.19) > 5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10 (0) | 2022.05.11 |
---|---|
2022.05.09 (0) | 2022.05.09 |
2022.05.06 (0) | 2022.05.07 |
2022.05.04 (0) | 2022.05.05 |
2022.05.03 (0) | 2022.05.03 |
댓글